Search

유튜버 경돼 분석 프로젝트

배경

코딩, 모델링, 복잡한 통계분석에 앞서 그 이전’의 과정(문제인식, 데이터 수집, 분석 방법 선정 등)에서 ‘왜’ 이것이 필요한지에 대한 깊은 고민을 통해 실무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내기 위해 무엇을 해야 될지 알아보는 것이 중점인 데이터 리터러시 스터디의 목적에 맞춰서 린 분석과 AARRR의 지표를 중심으로 분석을 할 수 있는 대상을 선정하게됨. 마침 지인인 유튜버 경돼의 채널 성장 니즈와 맞아 떨어져 분석을 진행하게 되었음
인터뷰를 통한 린 캔버스 정리
유튜브 관련 자료(래퍼런스) 조사
분석 가설? (인터뷰, 래퍼런스를 통한)
업로드 횟수(4회 이하, 5회이상)에 떄란 평균 업로드 조회수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컨텐츠 유무에 따른 평균 업로드 조회수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기간

2021.05.01 ~ 2021.06.01

수행인원

데이터 분석 5명(팀장(본인), 팀원)

역할

인터뷰 진행, 분석 가설 설정, PPT 제작

프로젝트 진행 환경

사용 OS
Mac
사용 툴
Python
사용 패키지
pandas, re, os, sklearn, matplotlib, seaborn, numpy, scipy
google API를 활용한 크롤러를 통해 경돼 채널의 데이터를 수집 후 전처리 과정을 진행
날짜 전처리
영상길이
날짜 별 업로드 횟수
상관분석
연도별 평균 조회수
조회수 라인 그래프
댓글 반응
연도별 월 평균 업로드 횟수
월 별 업로드 횟수에 따른 조회수 차이
컨텐츠 유무에 따른 조회수 차이

결론

: 주 1회이상 제목에 컨텐츠를 포함한 영상 업로드가 필요함.
피드백 후 이전 영상에 비해 1.5배 정도 조회수가 상승 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음.
현재는 개인 사정으로 유튜브에 전념을 못하고 있음.

프로젝트에서 좋았던 점

린분석 책을 기반으로 여러가지 지표에 대한 공부 및 유튜브 생태계를 어느정도 이해 하는데 도움이 됨
처음으로 Google API 사용해서 어느정도 실무에 적용 가능한 능력을 기를 수 있었음

프로젝트에서 아쉬웠던 점(배운점)

결론의 피드백 후 실제 조회수 효과 파악의 어려움

채널 본주인의 계정 공유 이슈로 인해 실제 어느정도 기간을(예) 업로드 후 1주 이내) 두고 이전 영상과 A/B test로 비교가 필요 했지만 불가능 했음

팀원들과 일 분배의 아쉬움

팀원들이 실제 인터뷰 부터 진행하는 분석과 Python에 익숙하지 못해 대부분의 과정을 내 주도하에 진행함.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팀원들의 코딩 실력도 늘어서 일 분배에 대한 걱정은 없을 것 같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