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ha Moment란?
제품의 유용성이 사용자에게 제대로 받아 들여지는 찰나
사용자가 핵심 가치, 즉 제품이 무엇을 위한 것인지 왜 제품을 필요로 하고 제품을 사용함으로써 얻는 혜택이 무엇인지를 확실히 받아들이는 왜 그 제품을 ‘꼭 가지고 싶은지’를 인식하는 순간
•
이런 경험을 통해 초기 사용자는 파워 유저이자 제품의 전도사가 됨
•
‘아하’라고 느끼는 경험은 지속가능한 성장의 필수 요소
•
가치를 인정할 수밖에 없고 자주 찾을 수밖에 없으며 다른 사람들에게 알릴 수밖에 없는 경험이기 때문
성장 촉진 활동을 빠르게 밀어 붙일 때를 쉽게 알수 있다
사용자들이 좋아하는 ‘A-ha Moment’을 찾았는지 자문하면 됨
But, 제품을 내놓고 최선의 시나리오가 펼쳐지기를 기다리기만 해서는 두드러진 ‘A-ha Momet’을 전달할 수 없음
A-ha Moment 경험
제품이 진정한 ‘A-ha Moment’을 보여주지 못했다면
•
제품 개발에 더 노력을 기울여야 함
‘A-ha Moment’을 경험시키는 데 필요한 것을 갖추고 있다면
•
사람들이 그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경함하도록 이끄는 일이 필요함
•
제품을 통해서 ‘A-ha Moment’을 제대로 경험하려면 일정 시간 이상 제품을 사용해야 하거나
•
제품의 특정한 기능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도 있음
•
예) 트위터는 초창기에 성장세를 유지하는 데에 애를 먹었지만 방대하고 세밀한 데이터 분석을 진행을 통해 30명 이상의 팔로우가 왜 tipping pont인지 자세히 연구를 진행함.
그에 따라 30명을 팔로우하면 서비스를 ‘머스트 해브’로 만드는 소식이 꾸준히 업데이트 되는 흐름이 만들어 졌던 것을 확인함
제품이 ‘A-ha’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지 판단하는 방법
사용자 데이터와 피드백을 통해서 열성 팬들을 확인한 후 이 사람들이 제품을 이용하는 방법에서 유사점을 찾아 애정이 덜한 사용자들과 달리 이들만이 제품에서 얻고 있는 가치가 무엇인지 확인하는 것
‘A-ha Moment’를 발견할 수도 있고, 제품 개발이 더 필요하다거나 제품의 방향 선회나 재정립이 필요하다는 결론이 나올 수 있음
제품이 절대적인 필요 요건을 충족시키는 지를 확인하는 방법
1.
간단한 머스트 해브 설문조사
a.
설문조사 대상
i.
사용자 기반이 넓을수록 신뢰도가 높고 유용한 정보가 나옴
ii.
사용자 기반이 넓지 않다면 고객 인터뷰에 의지
iii.
제품이나 서비스에 친숙하기 때문에 구체적이고 상세한 대답을 받을 수 있는 충성 사용자
b.
주의점
i.
제품이 핵심 가치를 달성했는지 확인하는 단계 이외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
제품을 계속 사용할 수 없다는 인상을 심어주면 안 되기 때문
2.
유지율 측정하기(retention rate)
a.
경쟁사보다 비교적 높은 유지율을 유지하는지 그 유지율이 장시간 안정적인지 확인
•
이탈 고객의 수를 주간 혹은 월간 단위로 자주 추적해야 됨
•
잦은 모니터링이 아니면 탈퇴의 징후를 조기에 감지하기 어려움
◦
신규 사용자를 많이 유치했더라도 짧은 시간 안에 얼리어답터들이 빠져 나가는 일이 얼마든지 일어날 수 있는데 이들 사용자 탈퇴가 새롭게 유입되는 사용자의 증가 때문에 가려질 수도 있기 때문
b.
유지율을 안정시키는 일을 한 번 통과하면 그만인 완전히 끝난 일로 생가해서는 안됨
•
유지율을 높이기 위한 활동은 성장을 추진하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 중 하나
c.
비교할 만한 제품을 찾아 성공을 가늠하는 업계의 기준이 어느 정도인지 확인 하고 되도록 평균 비율을 만들어서 성과를 판단하는 데 사용